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Spring Security
- 멀티스레드
- Spring Reactive Programming
- 비동기
- ExceptionHandlerFilter
- OpenFeign
- Apple 로그인
- 도메인 주도 설계(DDD) 기반 마이크로서비스(MSA) 모델링
- JWT
- 멀티프로세싱
- 멀티태스킹
- ExecutorService
- 프로세스
- FeignClients
- 네이버클라우드 서버
- 오블완
- 스레드
- springboot
- REDIS
- asciidoctor
- OAuth2.0
- 사이드 프로젝트
- 티스토리챌린지
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프로젝트
- 비사이드프로젝트
- 2024년 상반기 회고
- spring boot
- Spring Cloud OpenFeign
- querydsl
- microsoft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asciidoctor (1)
기록하기
REST Docs 설정 정리
회사에서 매번 REST Docs 를 설정할 때마다 설정 방법이 헷갈려서 레퍼런스를 많이 찾게 된다. 이미 좋은 자료들이 많긴 하지만 프로젝트마다 그리고 회사의 환경마다 조금씩 설정을 변경해줘야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. 특히 CI/CD 를 적용해서 젠킨스에 배포를 할 때면 배포 환경에서 MySQL 등에 접속을 막아두었기 때문에 build 시 asciidoctor 가 수행이 되면 안 된다!(이 부분이 제일 힘들었다.. gradle 작성방법이나 문법도 더 공부를 해야겠다..) 그래서 다른 블로그에서 참고한 내용에 좀 더 수정이 필요했기에 해당 내용을 추후 기억하기 위해서라도 적어보려고 한다. 프로젝트 환경 gradle 7.6 Spring Boot 2.7.5 Java 11 build.gradle 에 REST ..
Server/Spring Boot
2022. 9. 26. 09:34